홈 영역

Notice News 부산국제영화제 소식
2025 Program Sections — 30th Edition
Official Selections 공식 상영작 64개국 241
영화 이미지
Program Note
고등학생인 한 청년이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게 여겨지는 연상의 여인과 격렬한 사랑에 빠진다. 이들의 사랑은 가족과 사회에 정면으로 맞서는 반란이 된다. 그녀의 약혼자는 붉은 여단의 일원으로 수감 중인데, 국가와 협조하는 조건으로 감형을 약속받은 ′협력자(펜티토)′다. 벨로키오는 <육체의 악마>에서 남성 중심의 법과 질서에 맞서 싸우는 한 여성의 초상을 아름답고 강렬하게 그려낸다. 특히 이 영화의 솔직하고 거리낌 없는 러브신은 1986년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고다르의 <미녀 갱 카르멘>(1983)에서 주연을 맡았던 마루슈카 데르메르는 <육체의 악마>에서도 관능적이고 감동적인 연기를 펼친다. 이들의 사랑을 감독은 비극으로 그리지 않는다. 육체적·정신적인 러브스토리 <육체의 악마>는 벨로키오의 필모그래피 중 가장 밝은 작품 중 하나다. (서승희)

“레이몽 라디게의 원작 소설을 각색해 저희 세대에게 의미 있는 갈등을 그리고 싶었습니다. 이 영화는 한 여성을 사랑하게 되는 ‘전복적인’ 방식에 대한 탐구예요. 지금 우리 사회에 새로운 형태의 순응이 존재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새로운 전복 또한 필요합니다. 이제 전복은 개인의 것이 아니라 집단의 것이 되어야 합니다. 사회 전체가 변해야 합니다.”
— 마르코 벨로키오, 칸영화제 감독주간 프로그램 노트, 1986
World Premiere 영화 이미지
Program Note
불면과 무기력에 시달리는 모리는 제대로 된 음악을 만들지 못하며 시간을 흘려보내는 가운데, 사진작가로 성공한 아내 마이코와 불편한 동거를 이어간다. 한때 연인이었던 모리와 아사코가 우연히 재회하고 안부를 나누는 과정에서, 각자 더듬은 기억 속에서 서로 다른 과거를 마주한다. 집으로 돌아온 아사코를 기다리는 것은, 현재의 연인이 차려준 따뜻한 밥 한 끼와 다시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욕망이다. 그리고 마이코의 전시회에서 모리는, 그녀의 애정 어린 프레임 속에 포착된 자신의 소소한 일상 풍경들을 발견한다. 2021년 단편 <창문>으로 와이드 앵글 섹션에 초청되었던 시가야 다이스케 감독의 장편 데뷔작 <고양이를 놓아줘>는 미묘하게 얽힌 감정의 결을 섬세하고 예민한 시선으로 풀어낸다. 영화 중반부 모리와 아사코의 기억이 비껴가면서, 시간과 사실은 의도적으로 혼동되고 분절되지만, 전체적인 분위기는 일관되게 담담하고 고요하다. 이처럼 서사적 충실함보다 감정적 개연성에 집중하는 영리한 선택이, 결말에 이르러 마이코가 현관문 앞에서 느끼는 작은 감동을 선사한다. “지금, 행복한가요?”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은, 어쩌면 삶 곳곳에 숨어 있는 사소한 만족들 속에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박가언)
BIFF EventBIFF 이벤트
BIFF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