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영역

Notice News 부산국제영화제 소식
2025 Program Sections — 30th Edition
Official Selections 공식 상영작 64개국 241
World Premiere 영화 이미지
Program Note
프레드릭 쇨베르 감독의 첫 픽션 장편 <하나코리아>는 실화를 바탕으로 북한을 떠나 남한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여성 혜선(김민하)의 이야기를 그린다. 자유를 찾아 국경을 넘은 혜선에게 남한은 꿈꾸던 해방구가 아니라 적응해야 하는 무대가 된다. 하나원에서의 민주주의 교육부터 서울 아파트에서의 독립적인 삶까지, 모든 것이 낯설고 버겁다. 혜선이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는 영화 전반에 걸쳐 그녀 내면을 드러내는 중요한 장치로 작용한다. 샤론 최가 쇨베르 감독과 함께 공동 각본을 맡아 언어적 뉘앙스를 섬세하게 다뤘다. 김민하의 열연은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허물며 영화의 몰입도를 높인다. 초반에는 이주민 통합센터 안에 갇혀 있는 듯 고정되고 엄격한 화면 구도가 펼쳐지지만, 혜선이 한국 사회에서 자신감을 얻어 갈수록 화면은 점점 넓어지고 영상은 더 유연해진다. 중국을 거쳐 남북한을 넘나드는 주인공의 여정을 통해, 쇨베르는 자신의 과거와 화해하며 삶을 살아가야 하는 한 여성의 보편적인 초상을 그려낸다. 다큐멘터리 <고스트 타운>(2018)의 감독이 연출한 <하나코리아>는 탈북 이주민의 현실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지 않고 담담한 시선으로 포착하며, 해방을 향한 개인의 성장과 내면의 변화를 균형 있게 형상화한다. (허승)
World Premiere 영화 이미지
Program Note
<허락되지 않은>은 ‘영화를 만드는 영화’를 넘어 영화가 여전히 질문하고 저항할 수 있는 최후의 언어임을 증명한다. 망명 중이던 이란 출신 감독은 새 작품을 위해 고국으로 돌아오지만 당국은 촬영을 불허한다. 그럼에도 그는 히잡 착용 의무와 매체 검열이 일상인 사회에서 다음 세대의 목소리를 기록하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사막 변두리의 폐허에서 영화배우가 되고 싶어 하는 소년과 소녀들을 모아서 카메라 테스트를 한다. 그리고 “왜 배우가 되고 싶은가, 사랑이란 무엇인가, 자유를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와 같은 단출한 질문들로 그들 마음속 깊은 곳을 두드린다. 카메라 앞의 아이들은 내성적이든 외향적이든 세계 어디서나 만날 법한 평범한 얼굴이지만, 그들이 살아가는 현실은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 남녀 간 악수조차 금지하고, 공공장소에서 노래와 춤을 제약하는 규율, 아프간 이주민과 토착민 사이에 드리운 미묘한 긴장이 차츰 떠오른다. 메마른 대지는 이 겹겹의 통제를 더욱 선명하게 부각시키고, 아이들의 순진무구한 답변은 ‘통제된 질서 속 자기표현’이라는 주제를 정면으로 파고든다. 영국으로 이주한 하산 나제르 감독은 <허락되지 않은>을 통해 저항과 해방의 언어로서 영화의 존재 이유를 다시 묻는다. 그가 던진 질문은 상영이 끝난 뒤에도 오래도록 관객의 마음을 흔드는 잔향을 남길 것이다. (박성호)
영화 이미지
Program Note
쉬펀과 그의 두 딸, 이안과 이칭은 타이베이의 좁은 집으로 이사한다. 쉬펀은 야시장에 조그만 국수 가게를 열고, 이안은 거리의 작은 가게에서 빈랑(베틀넛)을 파는 ‘베틀넛걸’로 일한다. 아직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 이칭은 엄마의 야시장에서 나름의 생존 방식을 익혀 나간다. 그러나 쉬펀의 국수 가게는 비싼 임대료를 감당할 만큼 돈을 벌지 못하고, 이안은 가게 주인과 애인 사이이지만 불안한 관계를 유지하는 중이다. 어느 날, 이칭은 할아버지에게 왼손은 ‘악마의 손’이라서, 왼손으로 하는 일은 ‘악마의 일’이니 왼손을 쓰지 말라는 소리를 듣는다. 이칭은 어쩐지 자신의 왼손이 자기도 모르게 자꾸만 나쁜 일을 하는 것 같다. 복잡하고 활기찬 타이베이의 야시장에서 세 모녀는 각자의 문제를 안고 고군분투한다. <왼손잡이 소녀>는 핸드헬드 촬영, 선명한 색감, 속도감 있는 편집 등을 통해 생동감 넘치는 타이베이의 야경을 묘사하는 한편, 도시로 유입된 세 모녀가 처하는 경제적, 심리적 곤궁을 사실적이면서도 때로 유머러스한 방식으로 표현한다. 각자 개성이 뚜렷한 세 모녀, 무엇보다 사랑스러운 이칭의 시선으로 바라본 도시와 인물들이 매력적이다. <왼손잡이 소녀>는 션 베이커 감독과 오랫동안 호흡을 맞춰온 프로듀서이자 <테이크 아웃>(2004)의 공동 연출자인 쩌우스칭의 두 번째 연출작으로, 션 베이커 감독이 공동 각본, 편집, 프로듀서를 맡았다. (박선영)
BIFF EventBIFF 이벤트
BIFF Media